원에서 동경으로 정의하는 삼각함수와 좌표평면에서의 삼각함수의 연관성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고딩정도 수준으로..

삼각형으로 각 변의 비율을 계산하는 것은 삼각비라고 합니다.

sin, cos, tan 등등이 있고요.

이 삼각비는 정말 오래된 개념인데요.

삼각비를 활용해서 건물을 짓거나 하는데 사용했다고 합니다.

삼각함수는 이걸 0 ~ 360˚ 확장한 개념입니다.

360도로 확장하여 원이 등장하여 설명을 하게 됩니다.

원이 왜 중요하냐면 돌고 돌고 돌면서 반복을하게 되는데요.

주기를 가지고 반복하며 퍼져나가는 것을 파동을 설명하기 위한 기초가 됩니다.

다시 위에서 궁금한 것은 삼각비와 삼각함수의 차이는 무엇인가?

삼각비에서 정의역을 360˚로 확장하는 것이 성립하면서 원을 따라 무한정 반복될 수 있는 것이 삼각함수입니다.

그리고 그 삼각함수는 무한히 반복됨으로 파동을 설명할 수 있는 것입니다.

삼각함수에 대한 포스팅입니다.

image
기하학의 기본 도구인 삼각비와 삼각함수 의미와 뜻 그리고 기본적인 공식에 대해서

과학에 대해서 공부하다 보면 수식과 개념에 대해서 고민할 때가 많습니다.형상이 나오는 기하부분에서 내가 손으로 계산한 값과 실제 그림이 같을까 하고 생각해 봅니다.물건의 형상에 대해서 공부할 때 가장 먼저 나오는 삼각비와 삼각함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학교에서 배우는 공식이나 계산 테크닉이 아니라 의미에 대해서 포스팅했습니다. 1. 삼각비 세 변과 세 각을 가진 도형을 삼각형이라고 하고, 그중에서 한각을 직각으로 삼는 삼각형을 직각삼각형이라고 합니다. 이 직각 삼각형은 각도 중에 하나가 고정됨에 각 변들이 사이에 관계가 생깁니다....

toast-story.tistory.com